Henu
개발냥발
Henu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411)
    • DevOps (52)
      • Kubernetes (19)
      • Docker (14)
      • AWS (3)
      • Nginx (4)
      • Linux (4)
      • ArgoCD (1)
      • CN (2)
      • NATS (0)
      • Git (5)
    • Back-End (30)
      • Django (18)
      • Spring (5)
      • JPA (1)
      • MSA (5)
    • CS (87)
      • SystemSoftware (20)
      • OS (25)
      • Computer Architecture (16)
      • Network (23)
      • Database (2)
    • Lang (21)
      • Java (9)
      • Python (4)
      • C# (8)
    • Life (12)
    • 블록체인 (2)
    • Algorithm (204)
      • BOJ (160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9)
      • LeetCode (4)
      • SWEA (1)
      •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(8)
      • DS, algorithms (7)
      • Checkio (5)
    • IT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GitHub
  • 글쓰기
  • 관리자

공지사항

  • Free!

인기 글

태그

  • BFS
  • Network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docker
  • 백트래킹
  • Kubernetes
  • boj
  •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  • django
  • DFS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Henu

개발냥발

[백준 1300] K 번째 수 C++
Algorithm/BOJ

[백준 1300] K 번째 수 C++

2021. 5. 23. 23:58
 

1300번: K번째 수

세준이는 크기가 N×N인 배열 A를 만들었다. 배열에 들어있는 수 A[i][j] = i×j 이다. 이 수를 일차원 배열 B에 넣으면 B의 크기는 N×N이 된다. B를 오름차순 정렬했을 때, B[k]를 구해보자. 배열 A와 B

www.acmicpc.net

이분 탐색


1. 문제해결 아이디어

일단 n이 최대 100000 이므로 B배열을 실제로 만들어 주는건 불가능하다.

i번째 행은 i의 배수의 집합임을 이용하자

N = 5, K = 17 이 주어졌을 때.

 

이 문제를 이분탐색으로 풀기 위해서 5x5의 절반인 12를 최초 mid로 설정하자(lo = 0, hi = 25)

12는 위 표에서 몇 번째일까?

  • 1행은 모두 12보다 같거나 작다 -> cnt += 5
  • 2행도 모두 12보다 같거나 작다 -> cnt += 5
  • 3행은 4열까지만 12보다 같거나 작다 -> cnt += 4
  • 4행은 3열까지만 12보다 같거나 작다 -> cnt += 3
  • 5행은 2열까지만 12보다 같거나 작다 -> cnt += 2

cnt = 19가 되고 K=17보다 크기 때문에 mid값을 감소시켜야 함을 알 수 있다 -> hi = mid-1, mid = (lo + hi) / 2 = 5

mid는 (lo + hi) / 2 로 재설정해주고 위 작업을 반복하면 O(NlogK)만에 K번째 수를 구할 수 있다


2. 코드 설명

<+8> ~ <+18> lessNum_inMatrix(long long) : 행렬에서 mid이하인 수의 개수를 리턴하는 함수

<+27> ~ <+35> : 

mid와 같거나 작은 수의 개수가 K보다 작으면 K번째 수는 적어도 현재 mid보다는 크다는 말이므로 lo를 mid+1로 만들어서 탐색 범위를 절반 줄여준다

mid와 같거나 작은 수의 개수가 K와 같거나 크면 K번째 수는 현재 mid이거나 mid보다 작다는 말이므로 hi를 mid-1로 만들어준다

lo가 hi보다 커진다면 else 부분 조건이 반복되고, K번째 수가 현재 mid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#include <iostream>
 
using namespace std;
 
long long N, K;
 
// 행렬에서 mid와 같거나 작은수의 개수를 리턴
long long lessNum_inMatrix(long long mid){
    long long cnt = 0;
    for(int i = 1; i <= N; i++){
        // i행은 i의 배수의 집합이므로 
        // mid를 i로 나눠주면 mid가 i행에서 몇 번째에 위치하는지 알 수 있다
        // i행의 최댓값보다 mid/i가 더 크다면 N(행의 크기)을 cnt에 더해준다
        cnt += min(N, (long long)mid/i);
        if(i > mid) break;
    }
    return cnt;
}
 
void Matrix_BS(){
    long long lo = 1;
    long long hi = N*N;
    
    int res = 0;
    
 
    while(lo <= hi){
        long long mid = (lo + hi)/2;
        // mid와 같거나 작은 값의 개수가 K보다 작으면
        if(lessNum_inMatrix(mid) < K) lo = mid + 1;
        else{
            res = mid;
            hi = mid - 1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   cout << res;
}
 
int main(){
    cin >> N >> K;
    Matrix_BS();
    
    return 0;
}
Colored by Color Scripter
cs

 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 17298 17299] 오큰수 , 오등큰수 C++  (0) 2021.05.25
[백준 1644] 소수의 연속합 C++  (0) 2021.05.24
[백준 2146] 다리만들기 C++  (0) 2021.05.22
[백준 2239] 스도쿠 C++  (0) 2021.05.19
[백준 2449] 전구 C++  (0) 2021.05.17
    'Algorithm/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백준 17298 17299] 오큰수 , 오등큰수 C++
    • [백준 1644] 소수의 연속합 C++
    • [백준 2146] 다리만들기 C++
    • [백준 2239] 스도쿠 C++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