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enu
개발냥발
Henu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411)
    • DevOps (52)
      • Kubernetes (19)
      • Docker (14)
      • AWS (3)
      • Nginx (4)
      • Linux (4)
      • ArgoCD (1)
      • CN (2)
      • NATS (0)
      • Git (5)
    • Back-End (30)
      • Django (18)
      • Spring (5)
      • JPA (1)
      • MSA (5)
    • CS (87)
      • SystemSoftware (20)
      • OS (25)
      • Computer Architecture (16)
      • Network (23)
      • Database (2)
    • Lang (21)
      • Java (9)
      • Python (4)
      • C# (8)
    • Life (12)
    • 블록체인 (2)
    • Algorithm (204)
      • BOJ (160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9)
      • LeetCode (4)
      • SWEA (1)
      •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(8)
      • DS, algorithms (7)
      • Checkio (5)
    • IT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GitHub
  • 글쓰기
  • 관리자

공지사항

  • Free!

인기 글

태그

  • BFS
  • Network
  • boj
  • django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백트래킹
  • DFS
  • docker
  • Kubernetes
  •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Henu

개발냥발

[백준 1199] 오일러 회로 C++
Algorithm/BOJ

[백준 1199] 오일러 회로 C++

2021. 6. 23. 14:07
 

1199번: 오일러 회로

첫 줄에는 정점의 수 N(1 ≤ N ≤ 1,000)이 주어진다. 그리고 다음 N개의 줄에 대해 인접행렬의 정보가 주어진다. i+1번째 줄에는 i번 정점에 대한 인접행렬이 주어진다. 두 정점 사이에 간선이 여러

www.acmicpc.net

DFS, 오일러


1. 문제 해결 아이디어

 

 

오일러 서킷

오일러 서킷 :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정확히 한 번씩 지나서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경로 -> 한붓그리기 그래프의 시작점을 u, 끝점을 v라고 하자 1. u != v 인 경우 : v는 항상 홀수 개의 간선과 인접

hyeo-noo.tistory.com

 

이 문제는 오일러 서킷을 구하는 문제이다.

 

위 링크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구현을 하고,

간선정보를 받은 후 정점에 대한 degree가 홀수인 정점이 존재한다면 오일러 서킷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-1을 출력하면 된다.


2. 코드 - 07/27 : 틀린 코드네요 ㅈㅅ 합니다 왜 갑자기 틀렸지 다시 풀어봐야지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vector>
#include <algorithm>
using namespace std;
 
vector<int> Eucircuit;
int N, adj[1001][1001], degree[1001];
bool visited[1001];
 
void findEuler(int now){
    visited[now] = true;
    for(int i = 1; i <= N; i++){
        if(!adj[now][i]) continue;
        while(adj[now][i] > 0){
            adj[now][i]--;
            adj[i][now]--;
            findEuler(i)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   Eucircuit.push_back(now);
}
 
bool input(){
    cin >> N;
    for(int i = 1; i <= N; i++){
        for(int j = 1; j <= N; j++){
            cin >> adj[i][j];
            degree[i] += adj[i][j]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if(degree[i] % 2) return false;
    }
    return true;
}
 
int main(){
    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 cin.tie(0); cout.tie(0);
    if(!input()){
        cout << -1;
        return 0;
    }
    
    findEuler(1);
    reverse(Eucircuit.begin(), Eucircuit.end());
    
    for(auto &w : Eucircuit){
        cout << w << " ";
    }
    
    return 0;
}
 
Colored by Color Scripter
cs

 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 16197] 두 동전 C++  (0) 2021.06.26
[백준 20181] 꿈틀꿈틀 호석 애벌레 - 효율성 C++  (2) 2021.06.23
[백준 2162] 선분 그룹 C++  (0) 2021.06.20
[백준 1405] 미친 로봇 C++  (0) 2021.06.15
[백준 6543] 그래프의 싱크 C++  (2) 2021.06.14
    'Algorithm/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백준 16197] 두 동전 C++
    • [백준 20181] 꿈틀꿈틀 호석 애벌레 - 효율성 C++
    • [백준 2162] 선분 그룹 C++
    • [백준 1405] 미친 로봇 C++

    티스토리툴바